24년 12월 30일 기업보고서 요약
이마트 / IBK / 남성현 / 24.12.30
"알리와의 동행 (反쿠팡 연대)"
목표주가: 83,000원
- 지난 26일 이마트는 공시를 통해서 알리익스프레스와 지마켓의 지분 출자를 밝힘
- 본 구조는 아폴로코리아(주)가 보유하고 있는 G마켓 지분 100%를 현물출자하고 알리익스프레스는 알리익스프레스 코리아 지분 현물출자와 이와 별도로 추가적인 현금성 자산을 출자해 50:50 지분을 구축한다는 계획
- 이번 출자를 통해서 알리익스프레스와 G마켓의 시너지를 극대화해 국내 이커머스 시장 지배력을 넓힌다는 계획
- 이번 JV 설립은 반쿠팡 연대 구축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판단
- 단순히 알리와 이마트의 사업적 시너지 모색이 아닌 물류 + 온라인에 대한 시너지 발현을 통해서 쿠팡이 독주하고 있는 시장을 견제한다는 방침
- 이마트 입장에서 시 너지는 크게 2가지,
- G마켓을 통해 유입되는 셀러의 해외 진출을 도와주면서 양질 의 셀러들을 구축할 수 있고,
- 해외직구 상품을 확대해 트래픽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이는 G마켓이 약했던 Seller Lock-in 경쟁력을 강화시켜 상품군 강화를 모색할 수 있는 것
LG에너지솔루션 / NH / 주민우 / 24.12.30
"비상경영 돌입"
목표주가: 440,000원(하향)
- 2025년 볼륨 성장률 을 기존 +23% y-y에서 +13% y-y로 낮춤. 이유는 유럽향 판매와 GM향 판매 하향
- 유럽은 1월 EU 집행위원장의 자동차 업계 간담회 이후 CO2 초과 배출에 대한 벌금을 완화할 것으로 예상. 배출 허용량은 예정대로 감소하나, 벌금 규정만 완화된다고 가정해 성장률 하향 반영.
- GM향 판매는 기존 40GWh(+33% y-y)에서 33GWh(+10% y-y)로 하향. GM의 EV기준 재고가 약 8만대(20만대 생산12만대 판매 가정)에 육박할 것으로 보여 배터리 재고 확보에 속도조절이 필요한 상황.
- 다만 연초 테슬라 신차(모델Y F/L) 출시에 대한 수혜가 기대돼 1월 실 적설명회 이후 눈높이 조정되면 매수 권고
*현대바이오랜드 / 신한 / 백지우,이병화 / 24.12.30
"좋아질 일만 남은 편안한 구간"
- 화장품 천연 소재 업계 시장 점유율 1위. 고분자 히알루론산 등 경쟁력 있는 소재 지속 확보 중. 연간 7,600톤 CAPA를 보유, 가동률 70%대로 안정적 수준 유지
- 외형 성장과 수익성 개선이 동시에 이뤄지는 구간 진입
- 본격화 될 네슬레 건기식 유통 사업,
24년 1분기 네슬레 건기식 독점 유통 시작, 3분기 누적 매출액 153억원 달성. 현재 20개 이상의 백화점 식품관에서 판매, 사업 시작 첫해인 올해부터 연간 200억 내외의 매출 달성 추정
- 의료기기 Capa 증설에 따른 매출 증가,
의료기기 사업 20년 105억원 23년 183억원 기록. 치과용 멤브레인 ‘오스가이드’, 콜라겐류, 창상피복재 등 바이오생체 의료기기 판매. 24년 기존 대비 Capa 2배 확장. 추가 모멘 텀으로 발목관절 치료제 ‘카티스템’ 품목허가 및 매출 가시화 시점에 주목
- 적자 자회사 매각으로 인한 수익성 개선 기대
중국 자회사인 현대바이오랜드 강소유한공사(HYUNDAI BIOLAND JIANGSU CO., LTD.)의 지분 100%를 중국 화장품원료 제조기업 씨바이오텍(SeeBiotech)에 매각하기 위한 본격적인 작업에 나섰음. 26일 공시를 통해 자회사에 대한 대여금을 출자전환하고 유상증자를 통해 재무구조를 개선한 뒤 매각 작업을 완료할 예정이라고 밝힘.
티엘비 / DB / 조현지 / 24.12.30
"25년은 기술력이 빛을 발할 때"
목표주가: 17,000원(하향)
- 티엘비의 4Q24E 매출액은 476억원(-0.9%YoY, +2.5%QoQ), 영업이익은 24억원(+107.5%YoY, -14.0%QoQ)으로 전망
- 서버용 고부가제품 중심의 포트폴리오로 Blended ASP는 견조하지만(원/m2 기준 ASP는 이미 3Q24에 이미 분기 최고치 경신) 절대적인 물량 회복세가 다소 아쉬운 상황
- SSD, DDR5 모두 전반적으로 고객사의 주문량 자체가 많지 않은 것으로 파악
- 다만 제품경쟁력을 바탕으로 해외 고객사향 물량을 확대해나갈 것으로 기대된다는 점은 긍정적. 3Q24 말 기준 수주잔고 역시 158억원으로 1Q24(140억원), 2Q24(178억원)의 평균 수준에 머무른다는 점에서 4Q24E 가동률은 QoQ 유사한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더비즈온 / 삼성 / 오동환 / 24.12.30
"ONE AI에 달린 성장"
목표주가: 64,000원
- 전자신문사 인수 효과가 제거되며 4분기 매출 YoY 성장률은 8%로 둔화 예상. Extended ERP 매출은 전분기와 유사한 YoY 5.4% 성장이 예상되며, Lite ERP 매출은 경기 둔화로 YoY 2.5% 감소할 전망. Standard ERP 매출은 아마란스10 전환으로 YoY 18.2% 성장이 예상됨.
- 지난 6월 선보인 업무용 생성 AI 솔루션 ONE AI는 12월 계약 기업 2,000개를 돌파하며 이용자들로부터 높은 호응을 얻고 있음. ONE AI는 GPT API를 자체 클라우드 플랫폼인 위하고, 아마란스10, 옴니이솔에 접목하여 글로벌 생성 AI의 업무 적용이 어려운 중소기업의 접근성을 높임. 크레딧 사용량에 따라 최소 월 25만원의 요금이 책정 되어 과금이 시작되면 연간 60억원 이상의 매출이 발생할 예정.
'매일 증권리포트 > 2024'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년 12월 19~23일 기업분석보고서 (4) | 2025.01.02 |
---|---|
2024년 12월 26일 증권리포트 (2) | 2024.12.26 |
24년 12월 18일 증권레포트 서머리 (4) | 2024.12.18 |
24.12.17 증권리포트 서머리 (2) | 2024.12.17 |
24.12.16 증권리포트 서머리 (1) | 2024.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