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증권리포트/2025

25년 1월 9일 증권보고서 모음(feat.하이퍼스케일러 )

같이가치투자 2025. 1. 10. 00:15

피에스케이홀딩스 / 하나 / 김민경 / 25.1.9

"분기 최대 실적 기록 전망"

 

- 피에스케이홀딩스의 4분기 매출은 779억원(YoY +97%, QoQ +100%), 영업이익 288억원 (YoY +106%, QoQ +102%)를 기록할 전망

- 지난 3분기 연휴로 인해 인식이 지연되었던 일부 장비 매출이 4분기에 반영

- 견조한 GPU 수요와 ASIC 시장 본격화로 24년 하반기 파운드리 및 OSAT 고객사의 CoWoS Capa 증설이 장비 매출을 견인한 것으로 추정

- 전방 시장 확대로 HBM 수요 또한 동반 증가하고 있어 메모리 고객사의 후공정 Capa 확대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

- 하이퍼스케일러 업체들은 25년에도 공격적인 Capex 투자 를 진행하겠다고 발표하고 있으며 이는 AI GPU 및 ASIC 시장의 확대 및 HBM 수요 성장으 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

하이퍼스케일러: 인공지능(AI) 산업에 필요한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기업

 

- 이에 파운드리 고객사는 자국 내 디스플레이 FAB을 인수하는 등 단기간 내 CoWoS capa를 확대하는데 집중하고 있으며 OSAT 업체들의 낙수효과도 본격화되고 있다

 

 

현대지에프홀딩스 / 현대차 / 김한이 / 25.1.9

"배당 늘려가는 구조. ROE  P/B 회계적요인 감안해야"

목표주가: 5,800원

 

- 자회사 추가취득, 처분 및 순차입금 변화반영한 NAV 1.4조원에 목표할인율을 35%로 하향. 역대 저점보다 낮은 수치

- 지속되는 배당확대 기조 긍정적. ’24.11 기업가치제고계획,

  1. 25년부터 반기배당 100억원이상
  2. ‘27년까지 결산+반기배당 500억원수준
  3. 5% 수준 시가배당률 지향

- 배당수익률 FY24 4.3%, FY 25 5.7%, FY26 6.1%로 매력적

 

LG전자 / iM / 고의영,손우성 / 25.1.9

"지금의 주가가 반영하고 있는 것"

목표주가: 110,000원

 

- 4분기 연결기준 잠정실적은 매출 22.7조원(Flat YoY, +3% QoQ), 영업이익 1,461억원(-53% YoY, 영업이익률 0.6%)로 컨센서스 대비 매출은 부합 했으나, 영업이익은 -42% 하회

  1. H&A(가전)
    매출 7.4조원(+11% YoY, -11% QoQ), 영업이익 -740억원(적전 YoY, 영업이익률 -1%)으로 추정. 매출은 볼륨존 공략과 가전 구독으로 예상보다 견조. 11월을 기점으로 미국의 가전 제품 신규주문, 재고, 주택매매 관련 지표들이 개선되고 있음도 긍정적. 다만, 일부 물류비 부담과 재고건전화 활동으로 수익성은 기대에 미치지 못함
  2. HE(TV)
    매출 4.3조원(+4% YoY, +15% QoQ), 영업이익 43억원 (흑전 YoY, 영업이익률 BEP)으로 추정. 올레드 TV 확판과 webOS 매출 확대로 BEP
  3. VS(자동차)
    매출 2.7조원(+3% YoY, +2% QoQ), 영업이익 27억원 (-53% YoY, 영업이익률 BEP)으로 추정. 전기차 수요 부진으로 ePT 적자가 지속 (LG마그나 3Q24 누적 순손실 -1,065억원)되고 있으나, 고부가 IVI 확판으로 BEP를 지킨 것으로 추정
  4. BS(에어컨,전기차,PC,로봇 등)
    매출 1.2조원(-2% YoY, -11% QoQ), 영업이익 -1,057억원 (적지 YoY, 영업이익률 -9%)으로 추정. 최근 상업용 PC 시장은 회복이 나타나는 반면, 소비자용 PC는 여전히 크게 부진. 로봇, EV 충전 등 신사업과 관련된 비용도 확대된 것으로 추정

S-Oil / 하나 / 윤재성,김형준 / 25.1.9

"컨센 상회 예상. 2025~27년 이익 정상화와 성장 기대"

목표주가: 99,000원

 

- 4Q24 영업이익은 2,799억원(QoQ 흑전, YoY 흑전)으로 컨센(1,789억원)을 57% 상회할 전망

- 업황 개선과 외형/배당 성장 가능성, 역사적 하단까지 하락한 PBR 0.7배를 감안하면 적극 매수가 필요한 시점

- 2025년에는 한국 정유업체의 원가 열위국면 탈피가 기대된다. 2022~24년 3년 간 중국의 정유업체(특히, 산둥성 Teapot)는 러시아/이란/베네수엘라 등으로부터 10~20$ 저렴한 원유를 그림자 선단(Dark Fleet)을 통해 조달 받았다.

- 10월부터 미국은 그림자 선단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기 시작했고, 1/6일부터 중국은 산둥성 항구의 미국 제재 대상 유조선의 입항을 금지한 것으로 파악

- 2024년 5월부터 캐나다 원유는 아시아로 유입되기 시작했는데, 한국/중국 일부 업체가 이를 Dubai 대비 약5$ 가량 저렴하게 조달한 것으로 파악

- 2026년 중반 샤힌 프로젝트의 상대적 원가 우위 부각, 2027년 Full 가동에 따른 본격적인 외형 성장

 

펌텍코리아 / 하나 / 박은정 / 25.1.9

"4Q24 Preview: 컨센서스 상회 전망"

 

- 펌텍코리아의 4분기 실적은 연결 매출 877억원(YoY+21%), 영업이익 131억원(YoY+59%, 영업이익률 15%)으로 컨센서스를 상회할 전망

- 상회의 요인은 기대를 상회하는 수주 증가에 기인

- 동사는 선제적으로 CAPA 투자를 단행했는데, 부국티엔씨는 PE튜브 라인을, 펌텍코리아(별도)는 4공장 증설 진행